본문 바로가기
건강정보

[건강 검진 항목]이상지질혈증 검사

by 소율면옥 2024. 5. 20.
반응형

이상지질혈증은 혈액 내 지질 성분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. 이는 동맥경화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. 따라서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이상지질혈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Dyslipidemia

 

 

이상지질혈증 검사에 대해 알아보아요!

 

 

✅이상지질혈증 검사 방법

  • 혈액 검사: 이상지질혈증은 공복 상태에서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. 주요 검사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  • 총 콜레스테롤
  •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(LDL-C)
  •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(HDL-C)
  • 중성지방
  • 금식 필요: 중성지방 농도 측정을 위해 검사 전 12시간 이상 금식이 필요합니다.
  • 정기 검진: 일반 건강검진 시 이상지질혈증 선별검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 연령, 위험 요인 등에 따라 검사 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 

✅이상지질혈증의 유형 및 특징

  • 고콜레스테롤혈증: 총 콜레스테롤 또는 LDL-C 수치가 높은 경우입니다. 동맥경화증 위험이 높아집니다.
  • 저 HDL-C혈증: HDL-C 수치가 낮은 경우입니다. HDL-C는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있어, 수치가 낮으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합니다.
  • 고중성지방혈증: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경우입니다. 이는 비만, 당뇨,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.

 

✅이상지질혈증 검사 정상 수치

 

📊총 콜레스테롤(Total Cholesterol, TC)

  • 정상 범위: 200 mg/dL 미만
  • 정상 이상(near optimal/above optimal): 200-239 mg/dL
  • 높음(high): 240 mg/dL 이상

 

📊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(Low-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, LDL-C)

  • 정상 범위: 100-129 mg/dL
  • 정상 이상(near optimal/above optimal): 130-159 mg/dL
  • 약간 높음(borderline high): 160-189 mg/dL
  • 높음(high): 190 mg/dL 이상

 

📊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(High-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, HDL-C)

  • 정상 범위: 남성 40 mg/dL 이상, 여성 50 mg/dL 이상

 

📊중성지방(Triglycerides, TG)

  • 정상 범위: 50-200 mg/dL
  • 높음(high): 200 mg/dL 이상

 

✅이상지질혈증 검사 결과 이상 수치의 위험성

 

📊총 콜레스테롤(TC) 높음

  • 240 mg/dL 이상: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
  • 높은 총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와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을 높임

 

📊LDL-C(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) 높음

  • 160 mg/dL 이상: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
  • LDL-C가 가장 중요한 지표로, 높은 수치는 동맥경화와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을 높임

 

📊중성지방(TG) 높음

  • 200 mg/dL 이상: 췌장염 등의 합병증 위험 증가
  • 높은 중성지방은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어 심혈관 질환 위험도 증가

 

📊HDL-C(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) 낮음

  • 남성 40 mg/dL 미만, 여성 50 mg/dL 미만: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
  • HDL-C는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므로, 낮은 수치는 위험 증가
반응형

✅이상지질혈증 관리 방법

 

🚫식단관리

  • 에너지 섭취량 조절: 적정 수준의 칼로리 섭취 유지
  • 지방 섭취 줄이기: 포화지방, 트랜스지방 섭취 제한
  • 탄수화물 섭취 줄이기: 정제된 탄수화물 섭취 제한
  • 식이섬유 섭취 늘리기: 과일, 채소, 통곡물 섭취 증가

 

💪운동 실천

  • 유산소 운동: 걷기, 조깅, 수영 등 규칙적인 운동 실천
  • 근력 운동: 근육량 증가로 대사 활성화
  • 운동 시간 및 강도 점진적 증가

 

💊약물 치료

  • 스타틴 계열 약물: LDL-C 저하에 효과적
  • 기타 약물: 피브레이트, 니코틴산,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 등
  • 의사 상담 후 적절한 약물 처방 및 복용

 

📃검사 및 관리

  • 정기적인 혈액검사: 최소 9-12시간 공복 후 실시
  • 의사 상담을 통한 관리 계획 수립
  • 생활습관 개선 및 약물 복용 지속적 관리

 

마무리

 

이상지질혈증 검사 결과 중 높은 수치는 심혈관 질환 및 대사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,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며, 관리를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 특히 LDL-C 수치가 높은 경우 스타틴 계열 약물 등을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. 또한 HDL-C 수치가 낮은 경우에도 운동, 금연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조기 선별검사와 관리가 중요한 만큼 21세 이상 성인은 매 5년마다 공복 혈액검사를 받아 이상지질혈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 오늘도 건강하게 행복하세요! 감사합니다 :)

반응형